본문 바로가기
질문답변
게시판
회사소개
건물119
로그인
아파트 옥상방수공사 와 지하주차장 바닥공사 공법의 장단점 비교해주세요
안석훈
이름으로 검색
2020-06-03 22:51
1
수정
삭제
1. 아파트는 입주 16년차이며 옥상방수는 시트방수로 되어 현재는 몰탈이 일부 떨어지고 있는 상태이고
입주 후 처음 방수공사를 하려고 합니다.
2. 지하주차장은 최초공사시 페인트 도색한것처럼 얕게 칠이되어 현재 일부 몰탈이 일어 나고 또는
접착된 모래가 떨어지며 바닥에 금이간곳이 많고 장마철에는 물이 올라오는곳도 있습니다
3. 위 공사의 공법과 장, 단점을 비교하여 입주자대표회의에 보고한후 공사방법을 결정하고자 지인의
도움을 얻고자 하오니 자세하게 설명하여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목록
답변
이전글
방수공사 하자보수 기간이 궁금합니다
20.06.04
다음글
외벽방수공사 에 관해서 질문드려요
20.06.02
방수공사실장님
이름으로 검색
일반적으로 아파트 신축공사시 옥상부위의 시공방법에는
가.슬라브 부위 콘크리트 타설
나.액체방수
다.단열층 작업
라.보호몰탈작업
마.비노출 시트방수 또는 아스팔트 방수 또는 비노출 우레탄 방수
바.누름 콘크리트 타설
위와같이 설계내역 및 공사예산 및 시대에 따른 시공방법에
따라 다소 변동성은 존재하며 시공되어집니다.
다소 질문내용에 정확하지 않는 시트방수로 되어 있고
몰탈이 떨어지는 상태로 나오는데
아파트 신축공사시에는 대부분 노출 되어진 콘크리트 상태로 마무리가 되어집니다.
일정시간이 지나 노출시트로 방수공사를 하셨는지
아니면 몰탈이 떨어진다는 내용이 비노출 시트방수되어진 몰탈층이 떨어진다는 건지
내용이 다소 불명확하지만
현재의 상태가 시트방수로 되어져 있다면 같은 계열로 보수계획을 세우셔야 할듯 싶네요.
대다수 아파트 단지에서는 우레탄 방수공사가 일반적인데
질문자님의 아파트에 접근할경우에는 기존 시트 방수층 제거 및 폐기물 비용의 과다로 인해
공사금액은 높아지며 콘크리트 상태가 노후화로 인해 불량한 상태일경우에는
우레탄 방수공사로의 접근도 불가능하며 우레탄방수공사로 접근시에는
기존 시트방수층 제거 및 시멘트 계열의 바탕정리가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지하주차장 부위에는 일반적으로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가 보편적인데
아파트 신축공사시 에폭시 코팅작업으로 되어져 있다면 균열부위 및 훼손부위 보수후
에폭시 코팅 2 회 공사로 접근이 가능하나
아파트 신축당시 액상 하드너 또는 분말 하드너 작업이 일반적이다보니
에폭시 코팅 공사계획시에는 바탕정리 작업 및 하드너 프라이머의 도포 작업에
어느정도 민감하게 접근을 하셔야 할듯 싶네요.
현재의 대다수 아파트 단지 및 건물부위의 옥상부위에는
보편적으로 우레탄 방수공사 표준시공 권고두께 T=3 mm 방수공사와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가 일반적이다 보니 위 공사의 장단점에 대해 적어봅니다.
우레탄 방수공사의 장단점
가.공사금액이 고가이다
나.시공예정부위 콘크리트 바닥상태가 노후화 될경우에는 접근이 다소 어렵다.
다.방수층 훼손시 누수부위의 확인이 쉽다
라.물과 접촉시에는 다소 미끄러움이 발생한다.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의 장단점
가.공사금액이 저렴한편이다.
나.시공예정부위 콘크리트 바닥상태가 노후화 될경우에는 접근이 다소 어렵다.
다.물과 접촉시에는 다소 미끄러움이 발생한다.
라.대다수 주차장 및 공장에서 시공되어진다.
20-06-03
댓글
삭제
일반적으로 아파트 신축공사시 옥상부위의 시공방법에는 가.슬라브 부위 콘크리트 타설 나.액체방수 다.단열층 작업 라.보호몰탈작업 마.비노출 시트방수 또는 아스팔트 방수 또는 비노출 우레탄 방수 바.누름 콘크리트 타설 위와같이 설계내역 및 공사예산 및 시대에 따른 시공방법에 따라 다소 변동성은 존재하며 시공되어집니다. 다소 질문내용에 정확하지 않는 시트방수로 되어 있고 몰탈이 떨어지는 상태로 나오는데 아파트 신축공사시에는 대부분 노출 되어진 콘크리트 상태로 마무리가 되어집니다. 일정시간이 지나 노출시트로 방수공사를 하셨는지 아니면 몰탈이 떨어진다는 내용이 비노출 시트방수되어진 몰탈층이 떨어진다는 건지 내용이 다소 불명확하지만 현재의 상태가 시트방수로 되어져 있다면 같은 계열로 보수계획을 세우셔야 할듯 싶네요. 대다수 아파트 단지에서는 우레탄 방수공사가 일반적인데 질문자님의 아파트에 접근할경우에는 기존 시트 방수층 제거 및 폐기물 비용의 과다로 인해 공사금액은 높아지며 콘크리트 상태가 노후화로 인해 불량한 상태일경우에는 우레탄 방수공사로의 접근도 불가능하며 우레탄방수공사로 접근시에는 기존 시트방수층 제거 및 시멘트 계열의 바탕정리가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지하주차장 부위에는 일반적으로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가 보편적인데 아파트 신축공사시 에폭시 코팅작업으로 되어져 있다면 균열부위 및 훼손부위 보수후 에폭시 코팅 2 회 공사로 접근이 가능하나 아파트 신축당시 액상 하드너 또는 분말 하드너 작업이 일반적이다보니 에폭시 코팅 공사계획시에는 바탕정리 작업 및 하드너 프라이머의 도포 작업에 어느정도 민감하게 접근을 하셔야 할듯 싶네요. 현재의 대다수 아파트 단지 및 건물부위의 옥상부위에는 보편적으로 우레탄 방수공사 표준시공 권고두께 T=3 mm 방수공사와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가 일반적이다 보니 위 공사의 장단점에 대해 적어봅니다. 우레탄 방수공사의 장단점 가.공사금액이 고가이다 나.시공예정부위 콘크리트 바닥상태가 노후화 될경우에는 접근이 다소 어렵다. 다.방수층 훼손시 누수부위의 확인이 쉽다 라.물과 접촉시에는 다소 미끄러움이 발생한다.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의 장단점 가.공사금액이 저렴한편이다. 나.시공예정부위 콘크리트 바닥상태가 노후화 될경우에는 접근이 다소 어렵다. 다.물과 접촉시에는 다소 미끄러움이 발생한다. 라.대다수 주차장 및 공장에서 시공되어진다.
비밀글 사용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