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옥상방수공사 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저희 집에 옥상방수 공사를 하려고 합니다.
건축연도가 오래된 (약20년 이상) 단독주택입니다.
이전에 시멘트방수공사를 시공했었습니다. 제 기억으론 10년정도 됬습니다.
방수공사하는 방법을 찾아보니 여러가지가 있던데요,
시멘트공사, 무기질계(CMA-1A)공사, 우레탄공사....
각 공사방법마다 장단점이 다 다르던데, 저희집엔 어떤 공사방법으로 해야 할지
방수공사 분야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1. 건평은 18평입니다.

2. 공사금액은 우레탄공사까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3. 바닥에 페인트 칠은 외벽페인트공사할때 제가 임시로 했었습니다.

4. 오래된 집이라 작은 충격에도 울림이 있습니다. 가급적 부담을 적게 주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1. 옥상부위에 적용가능한
    옥상방수공법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다수 아파트 옥상부위에
    표준시공 권고도막두께 T =3  mm 우레탄 방수공사가 시공되어집니다.
    이러한 방수공사 계획시
    시공예정부위 바닥상태가 노후화 되어
    들뜸이 광범위하며 물구배가 매우 불량할경우에는
    시멘트 계열방식으로 바탕면 만들기 작업으로 선시행해야 하는데
    시멘트계열방식으로 바탕면 만들기 작업시에는
    일정두께 이하로 작업시에는
    들뜸의 우려가 존재하다보니 일정두께 이상으로 작업을 해야합니다.
    이러한 바탕면 만들기 작업시 하중문제가 문제시 되어지는데
    하중문제를 없애기 위해 새로 타설하고자 하는 두께만큼 걷어내고
    바탕면 만들기 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실제 확인을 해봐야 하겠지만
    이러한 옥상바닥층 위에 피막을 입히는 재료에 따라
    무기질계 방수공사.우레탄 방수공사로 나누어지는데
    무기질계 재료 특성상 우레탄 재료보다 탄성력이 떨어지며
    방수효과에 중요시되어지는
    도막의 두께를 올리는데 부적당하며
    균열에 약한 형태의 재료이다보니
    우레탄 방수공사금액보다 저렴한 형태로 시공이 되어집니다.

    공사예산상 공사진행이 어려울경우에는
    현재 바닥상태로는 다소 누수발생위험이 적다보니
    차후 누수발생시에는 부분적인 보수로도 누수문제는 해결되어질듯 싶기는 합니다만
    겨울철 눈쌓임에 의해 녹음과 얼음이 반복되어져
    현재의 옥상바닥층의 노후화를 더욱더 가중시키다 보니
    공사예산이 계획되어져 있다면 빠른시기에 공사를 하셔야 할듯 싶고요.
    우레탄 방수공사 T= 3 mm 에서 T= 4 mm 시공시에는
    평당 12 만원에서 15 만원 선상에서 시공되어질듯 싶네요.

    위와같이 방수공사금액이 고가이다 보니
    건물의 가격 및 향후계획 및 누수진행여부에 따라
    방수계획을 세우셔야 할듯 싶네요.

    차후 방수공사진행시
    옥상부위에 칠해진 페인트 제거도 선행되어지다보니
    난간 벽체 안쪽 또는 바닥층에 페인트 작업은 삼가하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